여러분들은 여름휴가를 잘 다녀오셨나요?
저는 여름 끝물쯤에 여름휴가를 다녀왔습니다.
이번의 국내여행은 하동으로 정했는데요
그 이유는 바로바로 하동에 가장 유명한
액티비티때문입니다.
저희의 일정은
휴게소
먼저 하동까지 240km 정도
약 3시간 걸리는 곳인데요
아침 일찍 출발을 하니 배가 고파서
휴게소에 들르게 되었습니다
1. 통도사 휴게소
2. 함안 휴게소
가는 동안 3개의 휴게소가 있었는데 2개의 휴게소를 들렸습니다.
🌊휴게소에서 항상 통감자와 호두과자를 시킵니다🌊
쌍산재
하동을 가기 전에 근처 구례에 쌍산재에
들렸습니다.
쌍산재는 300년이 된 고택입니다.
쌍산재는 윤스테이에 나와서 유명해진 곳입니다
하지만 프로그램이 방영된 지 된 경우라서 그런지
생각보다 사람이 많이 있지 않아서
여유롭게 둘러보았습니다.
쌍산재의 이름의 명칭은
오현우 선생의 아들의 호(쌍산)를 따서
쌍산재라고 짓게 되었습니다.
매주 화요일 휴무
관람시간 11:00 ~ 16:30
마지막 입장 16:00
입장료 10.000₩
🌊반려동물 출입금지🌊
중학생부터 관람 가능
생각보다 일찍 문을 여는 곳은 아니라
아침에 여유롭게 준비해서 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입장료 10.000원에 음료 1잔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들어가셔서 결제 후 음료를 받아서
움직이면 되십니다.
음료를 가지고 원하는 곳으로 이동이 가능하니
들고 다니면서 사진도 찍고 하시면 되겠습니다.
저희가 간 날은 생각보다 많이 덥지는 않았지만
약간의 오르막도 있고 그래서 약간 더웠으나
아이스를 시켜서 들고 다니면 먹으니
살 것 같았습니다.
화장실은 들어오는 입구에서 왼쪽으로 가시면 됩니다.
위쪽에서는 화장실을 찾지 못하여서
미리 화장실을 갔다가 구경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모든 건물의 마루에는
이렇게 생화가 놓여있고
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 놓았습니다.
또한 모든 집에 선풍기와 에어컨이 있었습니다.
짱짱 만세~~
선풍기가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
없었으면 너무 힘들었을 거예요
🌊마루에 눕지 마세요ㅠ🌊
집주인분들이 쓰고 가꾸는 듯한
느낌이 많이 들어서 좋았습니다.
윗동으로 올라가는 길입니다.
중간에 있는 길에는 대나무가 있어서
뭔가 더 조선시대의 선비가 살았던
느낌을 더욱 내주었습니다.
윗동은 아랫동보다
훨씬 더 고즈넉하고
여유롭게 앉아서 바람도 맞으면서
쉴 수 있는 그런 공간입니다.
입구 옆에는 이렇게 우물도 있습니다
먹을 수 있는 물이라
옆에 바가지도 있으니 목 마르신 분들은
한 번씩 이용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.
구재봉 활공장
옛날에 여행에 미치다에서 소개되어서
마음 한편 저장해 두었다고
이번에 가게 되었습니다
저희는 일몰시간에 올라가기고 했습니다.
먼저 활공장은 올라가는 도로는 이렇게 집이 있는
사이로 가게 되어있습니다.
처음 입구는 도로로 잘 되어있다가
초입 이후로는 임도로 바뀌어버립니다.
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산 71
네비를 찍을 실 때 활공장보다는
저 위의 주소로 찍으시는 게 편하게 올라갈 수 있습니다.
🌊산 정상 근처까지는 정말 정말 도로가 좁아요🌊
만약 중간에 차가 내려오기라도 한다면
누가 한 명이 후진을 해야 되는 엄청난 불상사가 생겨버립니다.
그래서 운전 초보 이신분들은 진짜 정말로
차량을 가지고 올라가는 거 추천 안 드립니다.
임도라서 울타리도 없습니다.
그리고 꼭 천천히 올라가시고
커브길에서는 한 번씩 클락션을 울리는 걸 추천드립니다
힘들게 정상에 올라오셨으면
정상에서 차를 주차하시고
바로 앞에서 일몰을 감상하시면 되겠습니다
저희는 일몰 20분 전에 올라가서 자리를 잡았습니다
일몰시간에는 올라오는 차 들고 많고 사람도 많으니
조금 일찍 가서 편하게 있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
그리고 일몰시간이 지나고 난 뒤에
사람들이 사진 찍고 바쁠 때 내려가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.
활공장에 쭉쭉 올라오시다 보면 중간에 길이 2개로 나뉘는데
나중에 내려올 때 그쪽으로 내려오게 되고
내려오면 저 푯말이 보입니다.
이렇게 하여 하동 여행 1일 차가 무사히 마쳤습니다.
촬영: editor Bin
글: editor Bin
편집보정: editor Bin
Copyright 2022 Cafe Fiore 피오레. All rights reserved
하동 여행 3일차 - 스타웨이하동 마지막 하동여행 (6) | 2022.09.13 |
---|---|
하동여행 2일차 - 최참판댁, 화개장터, 교동반점, 카페녹음, 최장길이 짚라인 (13) | 2022.09.08 |